I explore the complexities of mediation in contemporary experiences of physical disembodiment, particularly in our internet- and media-saturated society. Utilizing disparate projections, transparent materials, iridescent surfaces, and screens, I create environments where images are touched, reflected, and looked through. My work reflects on how, in both virtual and physical spaces, we as humans yearn for connection and intimacy but often struggle to truly find it.
Technological advancements have freed boundaries between individuals from physical and geographical constraints, bringing people closer and fostering new ways of connection. Now, without direct experiences or face-to-face encounters, we perceive others' presence through networks, receive updates, and establish relationships. However, as our lives increasingly pass through the filter of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feelings of isolation and emptiness often arise. This distancing from tangible reality contributes to a greater separation from each other in direct and physical ways.
This sense of deficiency leads to a desire for contact. Contact is about sharing boundaries. In my work, the membrane of skin serves as a boundary that divides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ody, acting as a device that delineates the scope of the self. It is a boundary that distinguishes self from other, yet it is also a membrane that awaits and permits the touch and connection of another being. This shared boundary separates the here from the there while creating a site for their encounter. It is a place where opposites meet. Contact carries with it the implication of fragmentation, while also holding the potential to create unexpected moments of intimacy and solidarity. It embodies a simultaneous experience of separation and connection.
I give visual and spatial form to the concept of contact. Organic images enveloped in membranes overlap at their boundaries and permeate one another. These images are cast in translucent silicone, printed and transferred onto resin surfaces, or engraved on thermoformed transparent acrylic.The cast silicone is sewn over openings in the wall, allowing light from within to seep through, illuminating the presence of the images for the viewer outsid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wall temporarily collapses as it merges into the silicone epidermis. By using the wall as both a point of contact and a boundary, I explore how to engage with the perceptions of access and limitation, which is a crucial aspect of my installation.
Another crucial element is the interaction of light and transparent materials. The spotlight that penetrates the transparent surfaces of thermoformed acrylic and thermoset resin transforms into imagery reminiscent of microorganisms in motion, emerging within the realm of the screen. This penetrating light creates a dual space of interior and exterior from an otherwise flat surface, weaving together these realms in a fluid exchange. Through this interplay, I aim to embody a boundary that evokes permeability, moving away from notions of fixation and obstruction.
Light, devoid of mass and solidity, resembles an intangible apparition, an ephemeral existence that vanishes entirely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Yet this very quality allows it to traverse physical boundaries, permeate the surfaces of other entities, and occupy space. By revealing the permeability of material surfaces, light abstracts physicality, extending the presence of images beyond and behind their surface. This elicits a delicate yet profound longing for connection, highlighting the complexities of touch in a fragmented reality.
나는 인터넷과 미디어 기술에 의해 매개되고 탈체화되는 일상적 경험 속에서, 사람이 서로에게 연결되고자 하는 욕망의 복잡성에 대해 탐구한다. 프린트 매체와 다중의 프로젝션, 빛을 머금은 투명한 표면과 스크린을 활용하여, 디스플레이된 이미지가 접촉에 대한 감각을 환기시키고 공간을 적극적으로 점거하는 구조를 만들어 낸다.
기술 발전을 통해 개인과 개인 사이의 경계는 물리적, 지리적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손쉬운 경로를 통해 서로 더 가까워지며, 새로운 방식으로 연결을 발전시킨다. 직접적으로 경험하거나 대면하지 않고도 접속을 통해 누군가의 존재를 파악하고, 소식을 알림 받고 관계망을 구축한다. 그러나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를 통해 필터링되는 우리의 삶은 도리어 고립감과 공허함을 낳기도 한다. 기술에 의해 매개되고 생성되는 관계는 우리를 유형적인 현실로부터 멀어지게 하고, 직접적이고 물리적인 측면에서 서로를 더 분리하는 데 기여한다.
나에게 있어 이러한 결핍은 접촉에 대한 욕구로 이어진다. 접촉은 경계를 공유하는 것이다. 나의 작업에서 피부막은 몸의 안과 밖을 나누는 경계이고 자아의 범위를 나타내는 장치로 작용한다. 자기와 비자기를 구분하는 경계이지만 다른 존재의 접촉과 연결을 기다리고 허용하는 막이기도 하다. 공유된 경계는 여기와 저기를 구분하면서도 그들이 마주할 자리를 만든다. 반대편과 맞닿는 곳이고 만남의 장이다. 접촉은 분절을 내포하는 동시에 예상치 못한 친밀감과 결속의 순간을 만들어낼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분리의 감각과 연결의 감각을 동시에 지닌다.
나는 접촉이라는 개념에 시각적, 공간적 형태를 부여한다. 막으로 둘러싸인 유기체적인 이미지들이 경계를 맞닿은 채 포개어지고 서로에게 스며든다. 이러한 이미지는 반투명한 실리콘으로 캐스팅되거나, 프린트되어 레진의 표면 위로 전사되며, 열성형한 투명 아크릴에 새겨진다. 캐스팅된 실리콘은 벽에 뚫려 있는 개구부에 꼬매지고, 벽 안으로부터 뻗어져 나오는 빛이 실리콘에 스며들어 벽 밖의 관객에게 이미지의 존재를 드러낸다. 벽의 내부와 외부의 구분이 일시적으로 무너져 실리콘 표피 안으로 녹아든다. 벽을 접점이자 경계로 사용하면서, 접근과 제한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다룰 수 있는 지 고민하는 것은 나의 설치에서 중요한 요인이다.
또 다른 중요한 요인은 빛과 투명성을 가진 재료이다. 열성형된 아크릴과 열경화된 레진의 투명한 표면을 투과한 스포트라이트는 미생물이 움직이고 있는 듯한 유기체적인 이미지로 변환되어 스크린의 영역에 맺힌다. 투과하는 빛을 통해 안과 밖 어느 것도 가지고 있지 않은 평면적 표면으로부터 내부와 외부라는 이중의 공간이 만들어진다. 빛은 이 이중 공간을 만들어내고, 관통하며, 연결한다. 나는 빛을 통해 고정과 차단이 아닌, 유동성과 투과성을 상기시키는 경계막을 구현하고 싶다.
매스와 견고함이 없는 빛은 무형의 환영 같으며, 전원이 꺼지면 모든 게 사라져버려 덧없기도 한 비물질적 존재이다. 하지만 그렇기에 물리적 경계를 넘나들 수 있고, 다른 존재의 표면에 머금어지거나 침투할 수 있고, 공간을 점유할 수 있다. 빛이 물질적 표면의 침투성을 드러냄으로써, 즉물성이 추상화되고 이미지는 표면 너머와 이면으로 존재감을 확장하게 된다. 이로부터 환기되는 접촉에 대한 감각은 섬약하지만 애틋하고 절실하다.